해커들에게도 대목인 명절 연휴…“URL 절대 누르지 마세요”

추석 연휴는 해커들에게도 대목이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으로 안부인사를 하거나 선물을 주고 받는 경우가 늘며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한 스미싱 공격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인다. 29일 안랩과 이스트시큐리티 등 보안 업체는 연휴 중 사람들의 긴장이 느슨해지는 틈을 타 해커들의 공격이 이뤄지는 만큼 보안에 각별히 유의해야한다고 당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탐지된 스미싱 건수는 전년 동기대비 378% 증가해 18만5369건에서 70만783건으로 늘었다. ◇스미싱 건수 전년대비 급증…코로나19 재난금·지인 사칭 공격 기승 예상 스미싱이란 문자메시지와 피싱의 합성어로 압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SMS)를 대량 전송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를 하도록 유도해 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올해 8월까지의 스미싱 건수는 총 70만건으로 이중 코로나19 관련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칭한 스미싱은1만 753건이 신고됐다.

from 동아닷컴 : 동아일보 전체 뉴스 https://ift.tt/3457VDi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