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큰 목곽묘인 ‘경주 쪽샘 L17호’에서 중원식 허리띠장식 등이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10월 발굴조사를 통해 신라시대(4세기 추정) 목곽묘 L17호 주곽 서쪽에서 중원식 허리띠장식을 2개의 조각으로 출토했고, 이를 17일 오후 2시 현장에서 조사 성과 설명회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발굴 당시 중원식 허리띠장식과 각종 마구류, 투구와 갑옷 편(片), 다량의 토기들이 함께 출토됐고, 유물들은 보존처리를 거쳐 최근 복원을 마친 상태다. 이번 설명회 이후 공개된 유물들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수장고에 보관될 예정이다. 이번에 발견된 허리띠장식은 금동으로 제작됐으며, 문양으로 용이 새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용의 머리는 결실돼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지만, 용의 몸통과 발, 꼬리 부분이 남아 있어 일부 문양의 양상이 확인됐다. 잔존 형태로 볼 때 허리띠에 결구해 사용했던 과판과 수하식(드리개)로 추정된다. 이런 중원식 허리띠장식은 일반적으로 중국에서
from 동아닷컴 : 동아일보 전체 뉴스 https://ift.tt/2K8Usnz
답글 남기기